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디지털 인생 100세 시대

소득 없어도 받을 수 있는 복지혜택 총정리 – 몰라서 못 받는 숨은 지원금! 본문

정책 & 정보

소득 없어도 받을 수 있는 복지혜택 총정리 – 몰라서 못 받는 숨은 지원금!

디도( (Dido) 2025. 4. 25. 15:03
반응형

 

소득이 없어도 괜찮아요! 받을 수 있는 혜택이 있습니다

 

“나는 소득이 없어서 아무 혜택도 못 받아요...”
👉 아닙니다!


정부와 지자체는 실직자, 무직자, 주부, 저소득층을 위한 다양한 지원제도를 운영 중이에요.


오늘은 신청만 하면 받을 수 있는 실속형 혜택들을 소개해드릴게요!


 

1. 기초생활보장제도 (생계급여·의료급여·주거급여 등)

 

✔︎ 대상: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30~50% 이하인 가구
✔︎ 혜택:

  • 생계급여: 매월 현금 지원
  • 의료급여: 병원비 90~100% 지원
  • 주거급여: 월세 또는 수선비 지원
    ✔︎ 신청: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홈페이지
    📌 소득이 '0원'이어도, 재산 수준에 따라 지원 가능

 


 

 2. 교육급여 & 국가장학금

 

✔︎ 대상: 자녀가 있는 가정 중 소득 없는 가정
✔︎ 혜택:

  • 초·중·고 자녀 교복비, 학용품비, 학비 지원
  • 대학생 자녀 국가장학금 최대 전액
    ✔︎ 신청: 교육청, 학교, 복지로, 한국장학재단

 


 

 3. 건강보험료 경감 대상

 

✔︎ 대상: 소득이 없거나 실직한 지역가입자
✔︎ 혜택:

  • 건강보험료 50~80% 감면
  • 실직 후 1년간 직장가입자 수준 보험료 유지 가능
    ✔︎ 신청: 국민건강보험공단 (☎ 1577-1000)

 


 4. 소득없는 주부도 신청 가능한 ‘긴급복지지원’

✔︎ 대상: 실직, 질병, 사고 등으로 갑자기 어려워진 경우
✔︎ 혜택:

  • 1인 가구 기준 생계비 약 70만 원(2025년 기준), 의료비·주거비 포함
  • 별도 소득 증명 없어도 가능 (공무원 확인서 등 활용)
    ✔︎ 신청: 주민센터 즉시 방문 접수

 


 

 5. 식료품·생필품 바우처 (지자체별)

 

✔︎ 대상: 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독거노인 등
✔︎ 혜택:

  • 마트/편의점에서 사용 가능한 식품 바우처, 생필품 카드
  • 월 최대 5~10만 원 상당
    ✔︎ 신청: 주소지 주민센터 또는 지자체 홈페이지

 


 

6. 평생교육바우처 (무직자 가능)

 

✔︎ 대상: 연간 소득 하위 50% 이하 (소득이 없어도 해당 가능)
✔︎ 혜택:

 

평생교육이용권

평생교육이용권 상담센터 부산광역시 바로콜센터 지역상담센터 051-120 대구 평생교육이용권 상담센터 053-210-5683 인천 평생교육이용권 상담센터 032-722-7220 광주평생교육이용권 상담센터 062-600-524

www.lllcard.kr

 

 


 

 7. 국민연금 납부예외 신청 & 추후납부 제도

 

✔︎ 대상: 소득이 없는 주부, 실직자
✔︎ 혜택:

  • 보험료 낼 수 없는 상황일 때 납부 예외
  • 나중에 소득 생기면 추후 납부 가능
    ✔︎ 신청: 국민연금공단 (☎ 1355) 또는 nps.or.kr

 


 

 실생활 팁

 

✔︎ 모든 제도는 ‘신청자’만 받을 수 있어요!
✔︎ 복지로(https://www.bokjiro.go.kr)에서 내게 맞는 혜택 검색
✔︎ 가까운 주민센터에 직접 방문하면 상담과 신청 한 번에 OK!
✔︎ 소득이 없다는 이유로 포기하지 마세요. 받을 수 있는 게 정말 많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