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디지털 인생 100세 시대

홈택스로 양도소득세 직접 신고하는 방법 – 따라만 하면 끝! 본문

온라인 수익 & 재테크

홈택스로 양도소득세 직접 신고하는 방법 – 따라만 하면 끝!

디도( (Dido) 2025. 5. 1. 22:21
반응형

 

미국 주식 투자자라면 매년 5월이 되면 피할 수 없는 양도소득세 신고!
생소하고 복잡하게 느껴지지만, 사실 홈택스에서 순서대로 따라만 하면 누구나 직접 할 수 있어요.
오늘은 미국 주식 양도세를 홈택스로 직접 신고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양도소득세란?

  • 해외 주식 양도차익이 연 250만 원을 초과할 경우, 초과분에 대해 22% 세율로 과세
  • 양도세는 이익이 발생한 다음 해 5월 1일부터 31일까지 신고 및 납부
  • 삼성증권, 키움증권 등 대부분의 증권사에서 양도소득 내역을 제공하지만,
    직접 홈택스에서 신고해야 함

 


 

 신고 전 준비물

 

  1. 증권사 해외주식 거래내역서 (PDF 또는 엑셀)
    → ‘해외주식 양도소득 보고서’ 혹은 ‘세금 신고서’로 불리며, 대부분 고객센터 또는 앱에서 다운 가능
  2. 본인 공인인증서 또는 공동인증서
  3. 계좌 정보 (환전 이력 등)
  4. 양도차익 계산 완료된 데이터 (환율 적용 포함)

 


 

 홈택스로 미국 주식 양도소득세 직접 신고하는 방법

 

1. 홈택스 접속 및 로그인

  • 홈택스 공식 웹사이트: https://www.hometax.go.kr
  •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 또는 간편 인증을 통해 로그인합니다.

2. 양도소득세 신고 메뉴 이동

  • 상단 메뉴에서 **[신고/납부] → [세금신고] → [양도소득세]**를 클릭합니다.
  • 양도소득세 신고서 작성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3. 신고 유형 선택

  • 확정신고를 선택합니다.
  • 신고 구분에서 정기 신고를 선택합니다.

4. 양도 자산 정보 입력

  • 양도 자산 종류: '국외주식'을 선택합니다.
  • 양도일자: 매도한 날짜를 입력합니다.
  • 종목명, 수량, 매도금액, 매수금액 등을 입력합니다.
  • 환율은 국세청 고시 환율을 적용합니다.

5. 필요경비 입력

  • 매매 시 발생한 수수료, 환전 수수료 등을 입력합니다.
  • 이러한 비용은 양도차익에서 차감되어 세액을 줄일 수 있습니다.

6. 세액 자동 계산 확인

  • 입력한 정보를 바탕으로 세액이 자동으로 계산됩니다.
  • 계산된 세액을 확인하고 이상이 없으면 다음 단계로 진행합니다.

7. 신고서 제출 및 납부

  • 신고서를 제출합니다.
  • [신고/납부] → [국세 납부] → [납부할 세액 조회 및 납부] 메뉴에서 납부할 세액을 확인하고 납부를 진행합니다.

 


 

 증권사별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자료 다운로드 방법

 

각 증권사에서는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신고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합니다. 아래는 주요 증권사의 자료 다운로드 방법입니다:

삼성증권

  • 모바일 앱: 삼성증권 mPOP
  • 경로: 메뉴 > 리서치 > 세금보고서 >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보고서

키움증권

  • 홈페이지: https://www.kiwoom.com
  • 경로: 고객센터 > 양도소득세 신고자료 >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자료

미래에셋증권

※ 각 증권사의 제공 방식은 다를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해당 증권사의 고객센터나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꼭 기억할 팁

 

✔️ 양도차익 250만 원 이하라도 신고는 선택적으로 가능
→ 손실이 났다면 다음 해에 대비해 신고해두면 절세에 도움됨!


✔️ 여러 증권사를 이용했으면 통합해서 신고
✔️ 세무서 방문 대신 전자신고로 충분

 

 

 

 

미국 주식 투자자라면 이제는 스스로 양도소득세 신고하는 시대!
이번 포스팅으로 직접 신고에 도전해보세요.
소득 있는 곳에 세금은 기본, 하지만 불필요한 세금은 줄이는 게 바로 진짜 절세입니다.

 

 


 
반응형